본문 바로가기
알짜정보

만 65세가 되셨나요? 지금 누릴 수 있는 혜택 총정리

by syalala 2025. 7. 4.
반응형

비과세 종합저축, 기초연금, 통신요금 감면까지

은퇴 이후, 경제적 혜택 제대로 챙기는 법

만 65세, 누구에게는 단순한 숫자지만 국가에서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 바로 각종 복지 혜택이 시작되는 시점이기 때문입니다. 이제는 세금 혜택부터 통신비 감면까지, 다양한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시기입니다.

이 글에서는 만 65세가 되었을 때 누릴 수 있는 대표적인 혜택 3가지를 소개합니다.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께도 꼭 알려드려야 할 정보입니다.


1.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

세금 없이 이자와 배당소득을 받는 방법

비과세 종합저축은 만 65세 이상 국민이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, 연간 2,000만 원 한도 내에서 발생하는 이자나 배당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.

가입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
  •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, 독립유공자 등도 해당
  • 1인 1계좌, 가입 한도 연 2,000만 원

기존에 세금우대종합저축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, 비과세 종합저축으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, 기존 상품을 해지한 후 새로 가입해야 합니다.


2. 기초연금 받을 수 있어요

매달 최대 40만 원, 노후 생활의 기본 지원
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저소득층 어르신에게 지급되는 복지 수당입니다. 2025년 기준,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
기초연금 수급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만 65세 이상
  •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약 220만 원 이하
  • 부부가구 약 352만 원 이하

신청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누리집에서 가능하며, 국민연금공단에서 자격 심사를 거쳐 수급 여부가 결정됩니다.


3. 통신요금 50% 감면

휴대폰 요금도 절약할 수 있어요

만 65세 이상이면 이동통신 3사(SK, KT, LG U+)에서 제공하는 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최대 월 26,000원까지 절감할 수 있어요.

감면 혜택 내용:

  • 기본료 및 통화료 35~50% 감면
  • 데이터 및 문자요금 포함
  • 기초연금 수급자는 추가 할인 가능

신청은 통신사 대리점 또는 정부24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. 요금제를 변경하거나, 가족 명의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신청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.


그 외에도 이런 혜택이 있어요

  • 지하철 무료 이용: 수도권 및 주요 도시에서 이용 가능
  • 국립시설 입장료 면제: 박물관, 미술관, 국립공원 등
  • 건강검진 항목 확대: 고혈압, 당뇨, 골다공증 등 만성질환 중심
  • 경로당, 복지관 급식 및 여가 지원: 지역 복지센터 중심으로 운영

마무리하며 – 이젠 나를 위한 시간이 필요할 때

그동안 가족과 사회를 위해 애써 오신 어르신들께, 이제는 국가가 준비한 혜택을 누릴 시간입니다. 비과세 종합저축, 기초연금, 통신요금 감면은 그 시작에 불과합니다.

이 정보는 부모님뿐 아니라 이 글을 읽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내용입니다. 가까운 어르신께 꼭 공유해 주세요. 당신의 관심이 누군가의 삶을 더 따뜻하게 바꿔줄 수 있습니다.


🔍 주요 키워드

  • 만 65세 혜택
  • 비과세 종합저축 조건
  • 기초연금 신청방법
  • 통신요금 감면 신청
  • 노인 복지 혜택 총정리
반응형